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팁

여권 신청 발급하는 방법! 여권 발급 준비물, 여권 만드는 방법은!? 구청을 찾아가면 간단!

간단하게 여권 신청 및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회사가 쉬는날이라 짬을내서 여권을 발급했습니다. 생각보다 여권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며, 발급 준비물 또한 간단합니다. 먼저 발급을 위해서는 3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여권사진 1장, 신분증, 5만원이 필요한데요?



여권사진은 지하철 사진기나 사진관에 가셔서 촬영하시면 됩니다. 지하철 여권 사진기를 이용할 경우 8장에 1만원 정도이며 전문 사진관을 이용할 경우 6~8장에 2만 5천원~3만 5천원 선입니다. (편집 및 의상 대여에 따라 가격이 달라짐) 참고로 사진 파일을 안받고, 편집 및 의상대여를 이용 안할경우 1만5천원 정도 합니다.



여권발급에 필요한 여권사진, 신분증, 5만원을 준비했다면 구청 및 시청(군청)을 찾아줍니다. 시의 경우는 시청, 군의 경우는 군청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저는 집 근처에 관악구청이 있기 때문에 관악구청에서 발급받았는데, 그외 구청인 구로구청, 강남구청 등에서 발급받을수도 있습니다. 또한 타 광역시나 주변 시의 시청에서 받을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권을 되찾으로 가야하니 왠만하면 집 근처 구청이나 시청, 군청이 가장 좋습니다.



먼저 여권 발급창구 데스크에 가시면 여권 발급 신청 간이서식이 있습니다. 참고로 지역에 따라 민원 여권과, 지적과, 봉사과, 민원과 등 다양한 과에서 여권발급을 취급하므로 해당 기관 직원들에게 여권을 어디서 발급받나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또는 네이버에서 여권발급기관을 검색하면 전국여권발급기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권 간이서식 쓰는 방법은 보통 데스크에 붙어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발급기간은 10년으로 체크하시면 되고, 여권 면수는 24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름은 성과 이름을 따로 적으며, 영어 대문자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신청인 전화번호와 긴급 연락처(본인 외)를 작성하신 후 사진, 신분증과 함께 여권 발급 신청 창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신청서를 확인 후 번호표를 주는데요?



확인받은 신청서, 신분증과 함께 본인의 순서가 되면 여권 접수처로 가시면 됩니다. 여권 접수처에 가시면 본인확인을 위해 지문 인증을 한 후 결제를 하게되는데, 최초 여권 발급 시 5만원이 지출됩니다.



마지막으로 여권발급 신청 접수증 및 위임장과 영수증을 받습니다.


교부일자 이후에 해당 접수증을 들고 여권수령을 하러면 됩니다. 발급기간은 3일~ 14일 정도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오늘 1월 2일(화요일)에 접수신청을 했는데, 1월 5일(금요일) 오후 2시 이후에 오면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이상으로 여권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버튼을 Click!